여러분은 밤하늘에서 별똥별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별똥별이 떨어지는 것을 보면 소원을 빈다는 이야기도 있지요
요즘은 어딜 가나 밤에도 환한 네온사인과 같은 불들로 하늘의 별 자체를 많이 볼 수 없어서 아주 어릴 적 시골에서 한두 번 정도 본 적이 있는 것 같아요. 이러한 별똥별은 어떠한 원리로 하늘에서 떨어지는 걸까요?
별똥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별똥별이란?
별똥별이라고 흔히 불리지만 유성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유성은 유성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주에서 혜성 또는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 또는 암석을 유성체라고 합니다. 이 유성체들이 우주를 떠돌아다니다 지구의 중력에 의해 빨려 들어 지구로 떨어지며 대기 속 마찰로 연소되며 발생하는 빛을 유성이라 하고 이러한 현상을 우리가 보았을 때 흔히들 부르는 별똥별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유성체가 지구로 떨어질 때에는 초속 20~80km의 속도로 떨어지다 지표면 가까이 왔을 때엔 공기 저항 때문에 초속 60km 정도로 점점 느려지게 되는데 이것을 종단속도 라고 합니다. 아마 어릴 적 이런 상상을 해본 적 있을 거예요 별똥별이 지구로 떨어지면 별을 주울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아쉽게도 이런 유성들은 작은 크기라 대부분은 떨어지며 모두 연소되어 증발하게 됩니다. 하지만 없어지지 않고 지표면에 도달하게 되는 것들이 종종 있는데 이러한 유성체의 잔해를 운석이라고 말합니다. 유성체는 보통 1g 이상의 질량을 갖고 있으며 유성체의 크기가 클수록 밝은 빛을 오래 볼 수 있고 작을수록 약하고 빨리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보통 지구에 떨어지는 유성은 맨눈으로 관측할 수 없는 것이 더 많으며 유성이 빛을 내는 순간은 단 몇 초 길어도 수십 초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본다면 정말 행운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네요.
별똥별이 많이 떨어지는 시간
별똥별은 흔히 자정이 넘어선 시간대에 잘 관측된다고 합니다. 자정이 가장 어둡고 관측하기 좋을 때라 그럴까요?
이러한 현상에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었습니다. 바로 지구가 태양을 도는 공전 속도와 관련이 있는데요 지구는 자전, 공전이 한 방향으로 돌고 있습니다. 유성 또한 태양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탈출속도인 초속 42km 이상으로 움직일 수 없는데 새벽이 오지 않은 지구 쪽의 공전속도는 초속 30km이며 이보다 더 빨리 움직여서 지구를 쫓아올 수 있는 유성체만 지구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정 전에 떨어지는 별똥별의 수가 더 적은 것이고 새벽이 된 지구 쪽의 유성체는 지구공전 속도와 합쳐져 초속 72km나 되기 때문에 지구보다 빨리 움직이는 유성체를 제외하고 공전궤도에 있는 유성체는 모두 관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유성우란? 생기는 이유는?
가끔은 별똥별들이 비처럼 많이 떨어져 내리는 현상이나 사진을 접해본 적 있을 겁니다. 이러한 것을 유성우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유성우는 어떤 현상 때문에 나타나는 걸까요?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 또는 암석을 유성체라고 하였었는데요. 혜성이 태양 가까이 왔을 때에 태양풍과 복사압으로 얼음이 녹으며 증발하여 많은 유성체들이 떨어져 나오게 되는데 이런 혜성의 부스러기들이 혜성의 궤도를 따라 조금씩 태양을 돌게 되며 흐름을 만들어내는 것을 유성체 흐름이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들을 만드는 태양에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혜성들은 모혜성이라고 해요. 이들은 유성체들을 만들어내는 과정들을 계속 반복하여 유성체의 흐름은 더더욱 선명해지게 만듭니다. 그리고 지구의 공전궤도와 유성체 흐름이 가까워지는 때에 지구가 이곳을 통과하면서 지구 중력에 빨려 들어와 줄지어 있는 많은 유성체가 연소하며 발생하는 빛들이 우리가 보았을 때는 하늘에서 별들이 쏟아지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때의 광경은 하늘에서 한 점을 기준으로 유성이 내려오는 듯이 보이는데 이 점을 복사점이라고 합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유성이 하나 떨어지는 것도 큰 행운이라 여겨 소원을 비는 문화가 있는데 많은 유성들이 한꺼번에 내려오는 장면을 실제로 본다면 정말 황홀하고 멋질 것 같습니다. 다행히도 올해 23년 유성우 장관이 펼쳐질 날들이 있다고 합니다. 8월 13일~14일 새벽에 페르세우스자리의 유성우가, 12월 15일 새벽 쌍둥이자리 유성우들이 하늘에 수놓아질 예정이라 하니 가족들,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 멋진 우주의 풍경을 즐겨보는 것도 어떨까요.
▼ 유성우 관측가능시기와 관측방법 알아보러 가기
'아시타의 우주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와대 UFO출몰 사건, 팔공산 UFO추격 사건 (0) | 2023.02.15 |
---|---|
유성우 관측방법과 준비물, 23년 유성우 관측가능한 날 (0) | 2023.02.14 |
평행우주가 있다면? 또 다른 우주 속의 나 (0) | 2023.02.11 |
로즈웰 UFO 추락 사건 (0) | 2023.02.11 |
외계 생명의 흔적, 가평 UFO사진 (0) | 2023.02.09 |
댓글